기사
청소년의 생활만족도 영향변인 규명 및 이성교제에 따른 차이 검증(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dating experience)
- 개인저자
- 김동심
- 수록페이지
- 29-56 p.
- 발행일자
- 2017.08.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고자, 자아인식으로 자아정체감과 자아탄력성, 학교생활로 학습활동, 교우관계를 선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성교제 경험에 따라 잠재평균과 각 변인간의 관계에 있어서 영향력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잠재평균 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6차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3학년 2,00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아정체감와 자아탄력성이 학습활동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력과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학습활동과 교우관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둘째, 이성교제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학습활동, 교우관계 및 생활만족도의 수준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이성교제를 하지 않는 청소년이 자아정체감과 자아탄력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성교제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학습활동, 교우관계 및 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자아탄력성이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이성교제를 하지 않는 청소년에게서 이성교제를 하는 청소년 보다 강력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인식을 관리해 주고, 학교나 가정 차원에서 이성교제를 하고 있는 청소년의 자아인식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 관심과 방법을 마련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ego-resilience, learning activities, peer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dating experience. This study is based on the panel study on Korean adolescents; which was a large, population-based study conducted by the NYPI.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009 students(1,570 students with no dating experience, and 439 students with dat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go-identity and ego-resilience affected learning activities and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ego-identity, ego-resilience, learning activities, and peer relationships affected life satisfaction. Third, according to latent means analysis, students with dating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ego-identity and ego-resilience than those with no dating experience. Forth, according to our multi group analysis, the path difference between ego-resilience and learning activities was significant in both the no dating experience and dating experience groups. With these results in mind, this study suggests a number of management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 school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