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의 다중매개효과(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leep duration and q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depressive symptoms)
- 개인저자
- 정은혜
- 수록페이지
- 119-146 p.
- 발행일자
- 2017.08.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수면시간, 수면의 질, 우울 증상의 관계를 밝히고,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을 매개변인으로 한 연구모형을 Preacher와 Hayes가 개발한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하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척도(S-척도), 수면시간을 묻는 문항, 수면의 질 척도(PSQI-K), 우울 척도(CES-D)를 실시하고, SPSS 22.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은 수면시간, 수면의 질과 부적 상관을, 우울 증상과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수면시간은 수면의 질과 정적 상관을, 우울 증상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수면의 질은 우울 증상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수면시간을 매개하여 우울 증상에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은 수면의 질을 매개하여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짧은 수면시간을 거쳐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스마트폰 중독경향이 높은 청소년은 수면의 질이 낮아 높은 우울 증상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함으로써 각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검증했다는 점과 수면시간보다 수면의 질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을 가진 청소년들의 수면 및 부정적 정서에 관하여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duration and qual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depressive symptoms. We performed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ith Hayes’ Process Macro program and bootstrapping.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10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following tools were used; a smartphone addiction scale(S-scale), a questionnaire on sleep duration, the PSQI-K, and the CES-D. The data thus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 22.0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did not affect depressive symptoms through sleep duration. Second,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significantly influenced depressive symptoms through sleep quality. This study provides initial evidence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sleep quality rather than sleep du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depressive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