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중학생 대상 학교 학업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chool academic counsel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 개인저자
- 김수란
- 수록페이지
- 147-178 p.
- 발행일자
- 2017.08.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중학생들이 호소하는 학업문제를 해소해 원만한 학업발달을 돕기 위한 학교 학업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문헌연구 및 학교상담 수요자(학생, 학부모, 교사)의 요구조사를 통해 학교 학업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내용구성을 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교육목표에 부합하고, 체계적이고 예방적인 소규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교 학업상담이 효과적인지 검증하기 위해 17명의 실험집단에게 집단상담을 약 3개월 동안 15회기(1회기는 학부모 대상 상담)를 진행한 후 같은 기간 어떠한 집단상담에도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학습동기 및 전략(ALSA) 검사, 심리적안녕감(K-WBSA)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집단 간 효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업상담에 참여한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학습동기 및 전략과 심리적안녕감에 있어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밖에도 집단상담 경험보고서를 통해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실시해 참여 학생들의 반응을 유목화하여 상담 이후에 나타난 의식 및 태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것으로 본 학교 학업상담의 효과를 질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토대로 학교 학업상담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지나친 학업부담으로 인해 많은 청소년들의 심리적안녕감이 위협 받고 있는 상황에서 학업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 건강한 학업발달에 기여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hool academic counseling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it to small group counseling sessions. In order to achieve our objectives, firstly, a school academic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our literature research and a needs analysis of the user of school counseling program (students, parents, teachers). As a result, a program was developed and was made available at the school in Korea used for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to target all students systematically as a preventative counseling model. Secondly, group counseling was carried out over the course of 3 months (15 sessions, 1 of the sessions was for parents) by applying a school academic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verify its effect. To test the effects of small group counseling, this study used ALSA and K-WBSA,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rough ANCOVA.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arning motivation/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students have been confirmed, depending upon their attendance of a school academic counseling program. In addition, the reflections of students upon joining this counseling program were categorized through a report on their experiences. Those who attended the academic counseling program showed higher levels of maturity and better attitudes towards academic life. This serves as important evidence of the empirical quality of our result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hoped that academic counseling programs such as the one used in this study are used more actively in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