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항목무응답과 단위무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저자
김세원
수록페이지
27-50 p.
발행일자
2012.08.26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패널조사가 사회과학분야에서 크게 유행하고 있지만 무응답에 의한 결측이 체계적으로 발생할 경우 패널조사 자료에서 편의된 추정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아동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항목무응답과 단위무응답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항목무응답과 단위무응답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음이항 회귀분석(negative binomial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아동의 성별, 유능감, 학업성취수준, 낮은 자기통제는 1차년도 조사문항 가운데 응답하지 않은 문항이 있는 항목무응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6회기에 걸친 추적조사에 한 번이라도 참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는 단위무응답의 경우 학업성취수준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항목무응답은 단위무응답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1차년도 조사에서 한 가지 이상의 설문 문항에 응답을 하지 않았을 경우 이후 추적조사에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 조사문항의 성격에 따라 항목무응답이 단위무응답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차이를 보였는데 다른 조사문항과 달리 1차년도 조사에서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에 응답하지 않은 항목무응답만이 단위무응답을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위무응답뿐만 아니라 항목무응답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동시에 있어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