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가족내 위험요인이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개인저자
김은이
수록페이지
79-113 p.
발행일자
2014.05.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가족내 위험요인이 청소년기의 주요 적응 영역인 정서·행동 문제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실행기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다음으로는, 가족내 위험요인, 실행기능, 정서?행동 문제 간의 관계를 상정한 연구모형에서의 경로가 성별집단과 학교집단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가족내 위험요인과 실행기능, 그리고 정서·행동 문제 간의 관계에 대해서 모형을 설정하였고, 서울 소재 중학교 재학생 399명(남학생 199명, 여학생 200명)과 고등학교 재학생 400명(남학생 209명, 여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가족내 위험요인, 실행기능,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족내 위험요인은 정서?행동 문제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행기능은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경로계수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은 모형에서의 모든 경로에서 차이가 유의하였다. 즉, 중학생의 경우에는 고등학생에 비해서 가족내 위험요인에서 실행기능과 정서·행동문제로 가는 경로계수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중학생에 비해서 실행기능에서 정서?행동문제로 가는 경로계수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고려할 때, 가족내 위험요인이 많은 청소년들의 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에 따라 다른 접근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중학생들에게는 가족내 위험요인을 줄이는 방략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는 반면, 고등학생 연령의 청소년에게는 개개인의 실행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학습과정 및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의 의의,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