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청소년의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학교폭력의 중복피해 경험에 관한 연구(Adolescents and their experience of victimization at home and at school)
- 개인저자
- 이인선
- 수록페이지
- 259-281 p.
- 발행일자
- 2014.08.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폭력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폭력 유형에 따라 별개의 연구로 진행되어 왔으며 여러 유형의 폭력을 중복적으로 경험하는 아동·청소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폭력의 중복피해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폭력 피해를 입은 아동은 다른 유형의 폭력의 피해를 입을 위험이 높으며, 여러 유형의 폭력을 중복적으로 경험하는 아동은 한 가지 유형의 폭력을 반복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아동에 비해 그 피해가 더 심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폭력의 예방과 피해 아동ㆍ청소년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서는 폭력 중복피해 실태와 중복피해의 위험을 높이는 취약 요인, 중복피해가 아동․청소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가정에서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학교에서 또래로부터의 폭력경험 실태를 파악하고, 두 폭력의 중복피해 경험과 관련된 취약요인, 중복피해가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의 성별, 학교성적, 부모의 방관적 양육태도가 중복피해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며, 중복피해를 경험하는 아동은 다른 집단에 비해 심리적 어려움을 더 높게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폭력의 예방과 개입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Research on adolescents exposed to abuse and violence in Korea has focused on separate categories of experiences, and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ose who experience multiple forms of victimization at home, school, and/or within their community. Adolescents exposed to multiple forms of victimization are likely to suffer from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distress than those who experience only one form of victimization repeatedly or chronically.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pressing need to understand the prevalence of multiple victimization and its adverse effects on youth development. Using data harvested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abuse at home and peer victimization at school, risk factors for re-victimization, and the effects of multiple victimization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functioning. Those exposed to victimization both at home and at school reported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symptoms. Gender, academic performance, and negligent parenting styles all helped to explain high risk factors for multiple victimization at home and at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