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중학생의 가정폭력피해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의 조절효과(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maturity between adolescents’ exposure to family violence and juvenile delinquency)

개인저자
원경림
수록페이지
59-85 p.
발행일자
2014.11.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가정폭력피해경험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가정폭력피해경험과 청소년비행의 관계에서 청소년기에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진로성숙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4차년도 아동용부가조사의 중학생 자료 605사례를 활용하였다. 연구모형검증을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청소년 중 17.5%가 1년에 1회 이상 부모로부터 심하게 맞은 경험이 있었고, 19.7%가 수치심과 모욕감을, 18%가 언어적 폭력을, 3.3%가 방임을 경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비행 실태 조사 결과 욕이나 상스러운 말을 한다는 경우가 47.6%, 거짓말하거나 남을 속이는 경우가 19.5%, 나쁜 일을 저지르고도 아무렇지 않게 생각한다는 경우가 6.1%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피해경험이 청소년기 비행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임이 검증되었다. 셋째, 가정폭력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켜주는 조절변수로서 진로성숙 요인이 검증되었다. 즉 가정폭력피해경험이 심하면 청소년비행이 증가할 수 있지만, 진로성숙이 높을수록 가정폭력피해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비행에 있어서 진로성숙의 조절효과가 나타난 결과에 근거하여 실천적, 정책적인 함의를 살펴보았고, 필요한 후속연구의 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violence on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iolence and juvenile delinquency.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data from the 7th Korea Welfare Panel Study was used, and 605 ca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In summar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family violence, career maturity and juvenile delinquency. Firstly, Among all of the adolescents, 17.5% was severed beaten by their parents, 19.7% experienced humiliation and insult, 18% was victims of verbal abuse, and 3.3% experienced parental neglect. According to a study on the juvenile delinquency, 47.6% used conversational swearing and cursing, 19.5% displayed interpersonal lying and deceptive behavior, and 6.1% showed tolerant attitudes toward delinquent behaviors. Secondly, higher levels of family violence was likely to cause more delinquent behaviors. Third,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iolence and juvenile delinquency. That is to say, among the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family violence, those who have higher degrees of career maturity revealed lower tendencies towards delinquent behavi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was extended to the policy implications of intervention methods that could help prevent juvenile delinqu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