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청소년의 인터넷과다사용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A study of the effect of adolescents’ overuse of internet on their cyber delinquenc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개인저자
염동문, 이성대
수록페이지
159-183 p.
발행일자
2014.11.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과다사용과 사이버비행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탐색하고, 인터넷과다사용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데 있어 그 영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실천서비스를 모색함에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지역의 중학생 25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넷과다사용과 사이버비행에 있어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다회귀분석은 예측변인과 조절변인을 평균중심화하여 적용하였으며, 조절효과의 크기와 통계적 검정력(povwer)을 제시하였으며, 자기통제력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효과인 단순회귀선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사용이 높으면 사이버비행 수준이 높아지는데, 자기통제력이 낮은 집단인 경우는 사이버비행의 변화량이 크지만, 자기통제력이 높은 집단의 경우는 그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인터넷과다사용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통제력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고 볼 수 있으며, 자기통제력은 사이버비행에 영향을 주는 동시에 인터넷과다사용과 상호작용하여 사이버비행에 영향을 주는 유사 조절변인으로 검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인터넷과다사용을 감소시키고 조절변인인 자기통제력을 향상시켜 사이버비행을 줄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overuse of internet and their cyber delinquency, and use these results in practice service to enhance self-control, which can in turn be used to control the influence of internet overuse on cyber delinquency.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analyzed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t conduct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trol on internet overuse and cyber delinquency, it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predicting variables and moderating variables were mean-centered, and the size and statistical power of the moderating effect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elf-control affected cyber delinquency and proved to be a quasi-moderator which influenced cyber delinquency in interaction with internet overuse.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suggested a number of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can be used to reduce adolescents’ overuse of internet and improve self-control as a moderator to decrease cyber delinquency. The possibl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also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