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 정신건강,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구조관계(The longitudinal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dependency, mental health, and school life adjustment)
- 개인저자
- 박은혁
- 수록페이지
- 171-193 p.
- 발행일자
- 2015.02.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 때의 휴대전화의존이 중2의 정신건강(주의집중, 신체화, 우울)과 중3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휴대전화의존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이 매개효과를 지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 중1 패널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1∼3차년도 모두 휴대전화를 가지고 있는 남학생 1,146명(49.7%)과 여학생 1,161명(50.3%)으로 총 2,30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였으며 인구학적 특성,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각 변인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본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년도 휴대전화의존은 2차년도 정신건강(주의집중, 신체화, 우울)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1차년도 휴대전화의존은 3차년도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1차년도 휴대전화의존과 3차년도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2차년도 정신건강 중 주의집중만이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by making use of longitudinal data, intended to identify whether mobile phone dependency in the first year would influence mental health issues (attention, somatization qqqamp; depression) in the second year and the school life adjustment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nd whether mental health would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mobile phone dependency in the first year had a static influence on all the mental health issues (attention, somatization qqqamp; depression) in the second year. Secondly, mobile phone dependency in the first year did not affect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third year. Thirdly, mobile phone dependency in the first year had a mediating effect on only the mental health issue of attention in the second year from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third year.
These results formed the basis of implications and the meaning taken from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