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및 가해경험의 변화 양상(Changes in student's school violence during middle school: Applying multivariate multilevel growth models to testing individual and school effects)
- 개인저자
- 노언경
- 수록페이지
- 37-66 p.
- 발행일자
- 2017.02.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청소년의 학교폭력은 행복한 학교생활을 저해하는 요소로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학교폭력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수준과 학교수준으로 나누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초등학교 4학년 패널 4-6차 자료 중 292개 학교에 속한 중학생 3,627명의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에 대해 다변량 다층 잠재성장모형(multivariate multilevel growth models)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성별, 탄력성, 교우관계, 학교풍토가 피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성별, 자기통제력, 학교풍토가 가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학교수준에서는 학교풍토가 피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학생예방교육, 교직원예방교육, 학교만족도, 교사인식, 학교풍토가 가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청소년 학교폭력의 피해 및 가해경험을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주는 개인 및 학교수준 변수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은 다변량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위계적 자료의 성장모형을 다변량으로 검증하였기에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자세한 논의와 정책적 함의는 아래에 기술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violence trajectories and the influences of individual-level and school-level variables. The present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4th-6th wave, containing data from 3,627 middle school students. Multivariate multilevel latent growth models were applied to examine school violence among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victimization and bullying in school decreased through middle school 1st grade to 3rd grade. Second, the student level, gender, resilience,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climate were related to victimization and gender, self-control, and school climate were related to bullying. Third, at the school level, school clima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ctimization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school climate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s on bullying. Finally, our interpretations of these results an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