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Group lasso를 통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탐색(Predictor exploration via group lasso: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life satisfaction)

개인저자
유진은
수록페이지
127-149 p.
발행일자
2017.02.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KCYPS 패널 자료가 수백 개의 변수들을 제공함에도, 선행 연구들은 그 중 십여 개의 변수 또는 요인만을 선정하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모형화해왔다. 그러나 복잡다단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과학 연구는 기존 이론에 근거한 몇 가지 변수 또는 요인만을 이용하는 데서 벗어나, 다른 새로운 변수들을 파악함으로써 기존 이론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특히 KCYPS가 제공하는 변수들은 그 이론적·실제적 타당성을 다수의 전문가들이 연구 설계에서부터 고려하여 수집된 변수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KCYPS 6차년도 초4 패널 자료 전체를 이용하여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탐색하고자 벌점 회귀모형 기법인 group lasso를 적용하였다. 벌점 회귀모형은 비벌점 회귀모형이 투입변수가 증가함에 따라 모형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에 대하여 해결책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group lasso를 적용함으로써 모형에서 연속형 변수뿐만 아니라 범주형 변수를 함께 다룰 수 있었다. 그 결과 338개 변수 중 15 개 변수가 선택되었으며, 이 때 모형의 예측 정확도는 78.25%였다. 선택된 변수 중 자아인식, 정서문제, 양육방식, 전체성적 만족도, 지역사회인식, 가정경제수준 평가 관련 문항은 선행연구에서 이용된 바 있으며, 그 회귀계수 방향 또한 선행연구 결과와 전반적으로 일치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으나 벌점 회귀모형에서 선택된 변수로 공부시간, 여가시간, 숙달목적 지향성 학습습관, 학교 체육시간 관련 문항이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 사회과학 패널 자료에 group lasso를 적용한 최초의 연구일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plored predictors affecting KCYPS middle school students’ life satisfaction levels, via penalized regression, specifically the group lasso. Among 338 KCYPS predictors after data cleaning had been conducted, a total of 15 were selected in the group lasso model. The prediction accuracy was determined to be 78.25%. Self-concept, depression, parental rearing styles, overall academic satisfaction, community recognition, gender, and home economic statu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students' life satisfaction,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Study hours,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students’ perceived physical education hours were newly explored predictors, not yet investigated in previous research. As one of the first group lasso studies making use of social science panel data, this study successfully included categorical predictors as well as continuous ones in one group lasso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