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와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시간효과 연구(A study on the time effect of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on the school adaption of adolescents)

개인저자
이은경
수록페이지
211-234 p.
발행일자
2017.02.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추이를 확인하고, 학교적응의 변화양상에서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시간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동일 청소년을 반복추적 하여 조사한 아동․청소년 패널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모든 변인에 결측값을 보인 대상을 제외한 2,312명(여 1,148명, 남 1,164명)을 선정하였고, 분석방법은 본 연구목적에 맞는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 변화는 무변화 모형과 일차함수 모형 보다 이차함수 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교 2학년 시점을 기준으로 학교적응은 증가하다가 어느 시점부터 감소하는 양상을 의미한다. 둘째, 학교적응에 대한 시간의존변수로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시간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동시효과는 중학교 3학년 시기에서만 발견되었다. 중학교 3학년 시기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중학교 3학년 시기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지만 다른 학년에서는 동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연효과는 중학교 2학년 시기에만 확인되었다. 중학교 2학년 시기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중학교 3학년 시기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다른 시점에서는 지연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고등학교 시기의 학교적응에는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시간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 학교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과 학교폭력 피해경험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을 위한 시기별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trajectory of school adaption and to examine a time effect of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on school adaption. For this purpose, utilizing the data of child and adolescent panel from the second grade of junior high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a total of 2351(1,148 females, 1,164 mal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study. The result of the analysis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school adaption increased at the second grade of junior high school to some point, but from that point forward, it tended to decrease. Second, a tim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on school adaption was supported, but a concurrent effect was confirmed only in the third grade of junior high school, and a lagged effect was confirmed only in the second grade of junior high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