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The longitudinal effects of youth social capital on self-rated health)
- 개인저자
- 박성준
- 수록페이지
- 241-269 p.
- 발행일자
- 2018.05.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자료 가운데 중1패널 1~6차년도 자료를 결합하여 활용하였다.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요인에는 부모․또래․교사와의 관계, 지역사회 인식, 청소년활동, 동아리활동, 종교활동이 포함되었으며, 그 외에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의 물적․인적 자본 요인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행태 및 질병 요인 등이 고려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건강의 상태의존적 특성을 반영하고자 동적패널분석 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은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와의 관계, 지역사회인식은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 및 교사와의 관계, 청소년활동, 동아리활동, 종교활동은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행태 및 질병 요인, 가족의 물적․인적 자본 요인은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흡연 여부, 질병 유무, 신체활동 정도, 부모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은 상태의존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또래와의 관계와 지역사회인식은 이전 시점의 주관적 건강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건강증진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effect of youth social capital on self-rated health. Six-year longitudinal data sets (2010 to 2015) were studied from the Korean Children qqqamp; Youth Panel Survey. Dynamic pane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effects of youth social capital on their self-rated health and to reflect the state dependence in healt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th social capital showed a longitudinal effect on health. Youth social capital such as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perceptions of the commun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elf-rated health. Second,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disease factors, human and material capital factors in family were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elf-rated health. Third, adolescents’ self-rated health indicated some degree of state dependence. Peer relationships and perceptions of the community showed a robust association with the levels of adolescents’ self-rated health even after applying status dependency in health.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health promotion of adolescent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