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Marital Disruption and Depression by Motherhood Status and Age of Children(자녀의 나이와 부모 여부에 따른결혼지위와 우울증 관계 연구)
- 개인저자
- 우혜영
- 수록페이지
- 89-112 p.
- 발행일자
- 2015.12.30
- 출판사
- 한국인구학회
초록
Objective: Despite the well-known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marital disrup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ess is known about whether or not motherhood status and age of children alter this association. Method: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1979 (N=4,171), we examine the extent to which marital disruption is predictive of change in depress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among women who were married at the baseline and whether or not the association varies by motherhood status and age of children.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women with marital disruption reported increased depressive symptoms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lso show that, among women who experienced marital disruption, women with a child showed an increased depression than women without a child. With respect to age of children, the detrimental consequences of marital disruption on depression are greater among mothers of a school aged child than mothers without a school aged child or childless women. Conclusion: Our results highlight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hood status and age of children on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marital disruption.
이혼과 사별로 나타나는 결혼상태 중단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는 지금까지 폭넓게 연구되어 왔으나 이 관계가 자녀의 나이와 부모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는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받아왔다. 미국의 전미청소년종단연구 79 코호트(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79 Cohort, N=4,171) 자료를 활용하여 이 연구는 이혼과 사별로 인한 결혼상태의 중단이 종단적인 우울증의 변화와 어떠한 관련을 가지는지 살펴보고 자녀 여부와 자녀의 나이가 이러한 관계에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연구 시작 시점에 결혼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결혼상태의 중단을 경험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우울증의 정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결혼상태 중단을 경험한 여성 가운데 자녀를 가진 여성이 자녀를 가지지 않은 여성에 비해 높은 수준 우울증을 나타내었고 학교에 다니는 연령대의 자녀를 가진 여성이 학교에 다니지 않는 자녀가 있거나 자녀가 없는 여성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우울증을 나타낸다. 이는 결혼상태의 중단이 주는 심리적인 영향이 가족 구조와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