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생활전망 잠재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A Study of the Life Prospect of Koreans: Focusing on Its Level, Pattern and Predictive Factors) | 이왕원 | 5-41 | 2015.09.30 | - | |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on Depressive Mood: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 김주희 | 42-70 | 2015.09.30 | - | |
노인의 빈곤과 우울에 관한 연구(A Study of Elderly Poverty and Depression: Focusing on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Poverty) | 김태완 | 71-102 | 2015.09.30 | - | |
자살관념 극복에 관한 연구(A Study on Overcoming ofthe Suicidal Idea) | 강준혁 | 103-134 | 2015.09.30 | - | |
노동시간 불일치와 근로자의 건강과의 관계 분석(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Hour Mismatch andWorker's Health) | 이용관 | 135-165 | 2015.09.30 | - | |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가구 경제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Household Economy: Focusing on Financial Coping and Poverty) | 우경숙 | 166-198 | 2015.09.30 | - | |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제도의 보험료 부담 형평성에 관한 연구(The Equity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ntribution in South Korea) | 최재우 | 199-221 | 2015.09.30 | - | |
사회복지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A Comparative Study of End-of-Life Care Intention between South Korea andthe United States: Social Workers’ Perspective) | 권성애 | 222-252 | 2015.09.30 | - | |
Health Promotion and Health Service/Program Use on an Urban Campus in the U.S.(미국 도시 대학 캠퍼스의 건강 증진과 학생 보건서비스/프로그램 이용) | 홍석호 | 253-277 | 2015.09.30 | - | |
유방암 생존자의 애착손상과 부부만족도 및 정신건강 간의 상관관계(Breast Cancer Survivors’ Mental Health Related to Attachment Injury andMarital Satisfaction) | 서미아 | 278-306 | 2015.09.3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