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예비영유아교사의 애착유형별 공감능력이 인성문제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Empathy Competence by Attachment Type on the Personality Problems of Pre-service Teachers)
- 개인저자
- 김춘경
- 수록페이지
- 49-73 p.
- 발행일자
- 2016.03.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애착유형에 따라 인성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능력을 파악하여 예비영유아교사의 인성문제 해결을 위한 효과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있는 유아교육 및 보육관련 예비영유아교사 1,000명의 연구대상을 4개의 애착유형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감능력과 인성문제는 애착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의 효과는 애착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안정형 애착유형에 속한 예비영유아교사에게는 인지적 공감능력이 내재화 및 외현화 인성문제를 감소시키며, 불안정형 애착유형에 속한 예비영유아교사에게는 정서적 공감능력이 내재화 및 외현화 인성문제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effects of empathy competence by attachment type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problems and to determin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problems. For this research, the respondents were 1,000 college students(three-year and four-year student) currently enrolled in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studies. The research compared four types of attach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pathy competence and personality problem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attachment. Second,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showed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attachment. Cognitive empathy competence had a strong impact on internalized/externalized personality problems of secure attachment type, and emotional empathy competence had a strong impact on internalized /externalized personality problems of insure attac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