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열린 어린이집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A Study on Child Caregivers' Awareness of the Open Door Policy of Childcare Centers)
- 개인저자
- 주희경
- 수록페이지
- 103-123 p.
- 발행일자
- 2016.03.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바람직한 열린 어린이집과 열린 어린이집의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실제로 열린 어린이집 운영으로 인해 교사가 정서적 고갈을 경험하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과 시설유형을 안배한 어린이집 교사 34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열린 어린이집에 대해 잘 모르는 교사들이 많았고, 심지어 열린 어린이집 정책에 대해 반대하는 교사들도 상당수 있었다. 교사들은 완전한 개방보다는 적절한 정도의 개방을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는 열린 어린이집이 교사나 영유아보다 부모나 기관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열린 어린이집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열린 어린이집 운영과 교사의 정서적 고갈과는 관련성이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은 실효성 있는 열린 어린이집 정책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ild caregivers' awareness of the open door policy for childcare centers. It also aims to examine whether child caregivers are exhausted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open door policy. Three hundred and forty child caregiv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lots of child caregivers who don't know about the open door policy of childcare centers, and many of them disagre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is policy. They thought that a moderate degree of opening is desirable rather than the full opening of childcare centers. Second, they expected that the policy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parents or childcare centers than on children or child caregivers. Third, child caregivers' emotional exhaustion is not related with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the open door policy of the childcare centers.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the open door policy to childcare center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