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그림이야기책 안에서 낱장식그림 집단과 막대인형의 집단 간 유아들의 인지능력 및 회상능력의 차이 분석(The Effects of Children's Cognitive and Recall Ability between Picture-Group and Doll-Group Conditions based on the Picture-Story Books)

개인저자
김숙이
수록페이지
157-183 p.
발행일자
2016.03.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그림이야기책과 함께 인지능력과 회상능력을 향상시켜 풍부한 상상력, 논리적인 사고, 반복적인 이야기 구성능력 등 언어의 유창성 및 언어능력 발달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으로 대상유아는 총 32명으로 구성되었다. 인지능력과 회상능력의 측정도구는 블룸의 질문단계 및 RA-RCP검사를 활용하여 그림이야기책과 함께 유아들의 인지능력을 측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이야기책 안에서 낱장식그림의 집단과 막대인형을 제시한 집단 간 유아들의 인지능력에서 등장인물의 막대인형을 활용했던 집단이 낱장식그림을 활용했던 집단보다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다주었다. 둘째, 그림이야기책 안에서 낱장식그림의 집단과 막대인형을 제시한 단서 및 무단서 조건에 따른 유아들의 회상능력 차이의 경우 시간대에 따라 연구당일 보다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회상능력이 희미해져 연구당일과 3일후 혹은 일주일 이후와는 의미있는 차이를 가져다주었다. 셋째, 그림이야기책 안에서 낱장식그림의 집단과 막대인형을 제시한 단서 및 무단서 조건에 따른 두 집단 간 유아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전체적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그림이야기책의 주인공이나 사건의 순서, 이야기의 실마리 등을 이해하고 인지하는데 있어서 약간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I explored and demonstrated the effects of children's cognitive and recall ability between picture-group(a sheet of picture) and doll-group(a stick of puppet) conditions and non-picture/doll conditions based on the picture-story books in 4- and 5-year-old childre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icture-group condition and doll-group condi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doll-condition group improved their cognitive ability.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icture/doll condition and the non-picture/doll condi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doll-condition group improved their recall ability and on time I condition. Fur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children's gender and age in the 4- and 5-year-old children, and it was found that the older children were better than younger children for the gender differences. The findings that children's ability to behaviorally recall contextual details associated with events increases during early childhood is consistent with several studies on kindergarten-aged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