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대학생의 부모됨 동기, 부모됨 인식, 부모역할 자신감에 관한 연구(A Study of the Parenthood Motivation, Perceptions of Becoming a Parent, and Confidence about Parental Roles of University Students)

개인저자
이윤정
수록페이지
1-18 p.
발행일자
2015.05.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부모됨 동기, 부모됨 인식, 부모역할 자신감을 확인하고, 부모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C시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부모됨 동기 중 정서적 동기가 가장 높았고, 부모됨의 대가보다 부모됨의 보상을 더 높게 인지하고 있으며, 부모역할 자신감은 중간수준이었다. 부모역할 자신감의 영향요인은 성별, 혈연유대적 동기, 정서적 동기, 부모됨의 대가였고, 이들이 부모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41.9%였다. 이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부모교육 및 부모됨 준비프로그램의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tivation behind parenthood, perceptions of becoming a parent, confidence about parental rol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confidence in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surveyed 285 students at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C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18.0. It was found, first, that score for emotional motivation was the highest among parenthood motivation factors, the score for the rewards of parenthoo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sts of parenthood, while the score for confidence about parental roles was moderate. Second,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confidence about parental roles were gender, the motivation to build biological family ties, emotional motivation, and the costs of parenthood. These factors explained 41.9% of the score for confidence about parental roles. This study will be used to help formulate preliminary data on parent education as part of a parenthood preper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동일 권호의 다른 기사
동일 권호의 기사 최대 5건을 제공합니다.권호정보 보기
권/호
제92집 2015년 5월
발행일
2015.05.01
구독상태
기사명저자페이지내용보기
대학생의 부모됨 동기, 부모됨 인식, 부모역할 자신감에 관한 연구(A Study of the Parenthood Motivation, Perceptions of Becoming a Parent, and Confidence about Parental Roles of University Students)이윤정1-18
부부 간 의사소통이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Marital Communication on Paternal Involvement in Infant Childrearing :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Efficacy)정미라19-40
조 바꾸기를 활용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음악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Children's Musical Interest and Musical Cognitive Ability Using Modulating Music Activities)김권일41-66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화에 나타난 생명존중 관련 내용분석(Analysis of Contents Related to Respect for Life in Children’s Stories Included in Teachers’ Guidebooks of the Nuri Curriculum for 3 to 5-year-old Children)서현67-101
기혼영아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일과 가정의 양립갈등, 소진, 자아탄력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Recogni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of Married Infant Car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s, Burnout and Ego-resilience)이지영103-125
저자의 다른 기사
동일 저자의 최근 기사 최대 5건을 제공합니다.
기사명저자발행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