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만 5세 다문화가정 유아의 상위언어 인식, 한국어, 중국어 능력에 관한 연구(A Study on Meta-linguistic Awareness, Korean and Chinese Skill of Infants aged 5 in Multi-cultural Families)

개인저자
이지현
수록페이지
113-138 p.
발행일자
2013.05.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중국출신 다문화가정 유아의 가족구성 유형에 따른 상위언어 인식, 한국어, 중국어 능력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 유아는 58명으로 모두 4년 이상 한국에 거주한 유아들이다. 본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상위언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정주원(2009)의 연구를 참고로 본 연구자가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한국어 능력은 김영태, 성태제, 이윤경(2003)의 PRES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중국어 능력 도구는 林宝贵, 黄玉枝, 黄桂君, 宣崇慧(2008)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유아 및 부모의 일반적 배경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족구성 유형에 따른 상위언어 인식, 한국어, 중국어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검정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족구성 유형에 따른 상위언어능력, 한국어, 중국어 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실시하였으며,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족구성 유형에 따라 상위언어 인식 능력과 한국어 능력은 차이가 있었으며, 중국어 능력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 어머니만 중국인 가정의 경우 상위언어 인식이 높을수록 한국어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 모두 중국인인 경우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