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협동적 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저자
- 김미정
- 수록페이지
- 187-210 p.
- 발행일자
- 2014.07.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정서지능 및 협동적 조직문화의 일반적 수준을 알아봄과 동시에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정서적 지능과 협동적 조직문화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보육교사 419명이었으며, 정서지능, 협동적 조직문화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정서지능, 협동적 조직문화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정서지능, 임파워먼트와 협동적 조직문화가 각각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상대적 설명력을 보면 협동적 조직문화가 교사의 정서적 지능보다 더 많은 설명력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협동적 조직문화 중 교사의 협동성, 협동적 지도성, 학습동반자가, 정서지능은 정서인식 및 정서표현, 정서활용이 유의미한 설명변인이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ollaborative cultur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The subjects were 419 early childhood teacher who worked in Busan.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frequency, percentage, Pearson r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S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aborative culture level were higher than average. Second,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collaborative culture. Third, ’collaboration of teacher’ which is sub-variable of collaborative culture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total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Finally,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research limitation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