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유아의 다중지능과 자아존중감의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 상호작용 효과 및 상관관계
- 개인저자
- 김희정
- 수록페이지
- 233-261 p.
- 발행일자
- 2014.07.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다중지능과 자아존중감에 있어 유아의 연령별, 성별 차이와 연령과 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파악하고, 유아의 다중지능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N시와 G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4곳에 재원중인 만 3세-만 5세 유아 2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다중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류숙희ㆍ김주현ㆍ박은실(2005)의 PMI 척도를,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지성애ㆍ김승희(2010)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PASW 18.0을 사용하여 이원변량분석과 LSD추후분석,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라 유아의 다중지능과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지능과 자기성찰지능에서, 그리고 인지적 자아존중감과 가족수용 자아존중감에서 유아의 연령과 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의 다중지능과 자아존중감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ge and gender difference as well as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gender i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and self-esteem. Also it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s and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213 children from three-year-olds to five-year-olds in four kindergartens in G city and N city. Using PASW program ver.18.0,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two-way ANOVA, LSD post-analysis, and Pearson 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not young children’s genders but young children’s ag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total multiple intelligences and self-esteem.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sub-area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s age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gender in Children’s sub-areas multiple intelligences and self-esteem. last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multiple-intelligences and total self-e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