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ADHD 유아의 숲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A Study on ADHD Children’s Forest Alternative School Adjustment)

개인저자
정대현
수록페이지
127-155 p.
발행일자
2014.09.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에 재원 중이던 ADHD 유아가 숲을 교육공간으로 하고 있는 매일 형 숲 학교에 적응해 가는 과정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공간은 C도에 위치한 H학교이다. 연구대상은 ADHD 판정을 받은 유아 2명을 대상으로 2012년 12월부터 2013년 4월말까지 5개월 동안 참여 관찰하였다. 참여관찰하기 전에 ADHD 판별도구인 DSM-Ⅳ-TR의 선정기준을 한국화한 K-ARS와 Corners 평정척도를 실시하였고, 연구가 끝나는 시점에 이들 검사를 다시 실시하여 변화를 양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참여관찰 도중 변화의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K-ARS와 Corners 평정 척도를 통한 사전과 사후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주의력, 과잉행동 및 문제행동이 향상되었다. 맥락에 따른 변화의 과정을 살펴보면 ADHD 유아들의 숲 학교 적응과정은 ‘약간의 주저함 그러나 숲은 해방구’에서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교사’, ‘또래’, ‘학업과 생활 규칙’에 각각 적응해 갔다. 숲은 ADHD 유아들이 적응하기에 풍부한 놀이 환경과 공간의 확장성으로 ADHD 유아들은 학교 시스템에 의한 순응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 존재와 숲의 환경과 상호 조절을 기반으로 하는 자기 적응과정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examining how two six-year-old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adapted to the alternative forest school. The research subjects were observed from December 1, 2012 to April 30, 2013. Their respective adaptations to a alternative forest school were compared by carrying out a pre-post DSM-Ⅳ test and Corners Teacher Rating Scale(CTRS). Each research subject was analyzed ethnographically. This led to a further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rocesses and contexts which could not be foun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forests are known to enhance the attention of ADHD children. The qualitative mechanisms of ADHD childrens’ alternative forest school adaptation occurred as the adjustment results of forest’s space attributes.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a forest school and suggested the need for a more concrete and practical study of this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