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우리나라 유치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실태 조사(Research on Korea Kindergartens' State in Relation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개인저자
- 지옥정
- 수록페이지
- 23-52 p.
- 발행일자
- 2015.01.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치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실태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유치원에서 지역별 3%를 집락표본 추출한 후, 유치원별 만 4세 담임교사 1명이 응답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70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먼저 운영관리의 경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에는 시설․설비 및 운영방침이 취약하였으며, 환경관리규정조차 전체의 1/3 정도의 유치원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내용 및 실시정도와 관련하여 보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시비율은 자연교육이나 환경교육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사 재교육과 관련해서는 그 기회나 정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유치원에서 바람직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유치원의 물리적 환경, 운영방침 등 기반 조건이 개선되어야 하며,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교사 재교육 기회가 확대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order to check Korea kindergartens' state in relation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ur research methodology is to let a teacher of each kindergarten for four-aged children answer the questionnaire after selecting 3% regional intensive samples from all country-wide kindergartens. As the result of analyzing 370 questionnaires, it is found that, in case of operational management, kindergartens have weaknesses in facilities, equipment, and operation policy in executing an efficien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also found that only one third of all kindergartens own environmental management rules. Next, compared with nature education or environmental education, a conspicuously low rate of ESD had been conducted if education contents and an extent of its execution are reviewed. Last, an opportunity or extent of continuing education on teachers, in relation to ESD, turned out to be low. Based upon this result, in order to perform a desirable EDS, first, basic conditions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and operation policy of kindergartens must be improved. And it is simultaneously proposed that an opportunity of continuing education be extensively given to teachers in order to make an execution of EDS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