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국·공립 보육시설 교사의 조직신뢰와 학부모신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The Impacts of the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and Parental Trust on Their Job Satisfaction)
- 개인저자
- 송운석
- 수록페이지
- 53-77 p.
- 발행일자
- 2015.01.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 451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조직신뢰와 학부모신뢰 구성요인과 그것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 영향관계는 보육교사들의 재직기간에 따라 어떻게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보육교사들의 조직신뢰는 투명한 조직운영 그리고 학부모신뢰는 학부모들의 도움과 배려가 가장 중요한 구성요인이며, 조직 및 학부모신뢰 구성요인 모두 그들의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재직기간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재직기간이 1년 미만인 교사들의 경우 조직의 능력성, 참여기회 확대, 투명성으로 인한 신뢰가 그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재직기간이 4년 이상인 교사들의 경우 보육프로그램 참여기회 확대로 인한 신뢰만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신뢰의 경우 인지적 신뢰가 교사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학부모들의 정서적 신뢰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acts of the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and parental trust on their job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mediation impacts of the period of service in their po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and parental trust and their job satisfaction. For this study, 451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were survey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and parental trust had impa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Also the teachers’ the period of service in their posi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and parental trust and their job satisfaction. Most of al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nhancement of the chance of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day care program management has to be in company with the parents’ emotional support.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ce of participa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mediated by the emotional support from the pa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