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 전통놀이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A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of Korean Traditional Play in Early Childhood relation to the Nuri-curriculum)

개인저자
정말숙
수록페이지
109-129 p.
발행일자
2015.01.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 전통놀이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연구이다. 교사와 부모 571명(교사 48명, 어머니 271명, 아버지 252명)을 연구대상으로 유아전통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려움, 전통놀이 활성화에 대한 욕구를 조사하였다. 전통놀이에 대한 인식은 교사와 부모 간의 알고 있는 전통놀이의 평균 개수와 어려움의 평균 개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경험해본 전통놀이의 평균 개수는 어머니보다 아버지가 높았다. 전통놀이 활용의 어려움은 교사와 어머니는 사전지식이나 자료의 불충분이 높았고, 아버지는 장소의 제약이 가장 높았다. 전통놀이 활성화에 대한 욕구에서 교사는 전통놀이 지도시 인터넷을 참고하였고, 강연이나 연수경험이 전혀 없다는 비율이 높았으며, 전통놀이 활성화를 위해 국가수준의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을 요구하였다. 부모는 학부모 참여프로그램이나 가정과의 연계, 협력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ants’ of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relation to the Nuri-curriculum. The survey of a total of 571 teachers and parents (48 teachers, 271 mothers and 252 father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ants’ of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relation to the Nuri-curriculum. Regarding the percept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s of the awareness and the difficulties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but the average experience frequency shows that fathers' figure is higher than mothers'. The difficulties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play were caused, for mothers, mainly by an insufficiency of preliminary knowledge or materials and, for fathers, by the location restric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play. This study found that teachers mostly used the internet to teach their children but they had little experience in taking training courses or seminars on Korean traditional play. To revitalize the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play, teachers demande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play on a national level, and parents wanted more programs that allowed their participation and they wanted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relation to the kindgarten-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