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어머니의 양육관련변인과 유아 문제행동의 구조적 관계(Parenting-Related Factors Influencing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 개인저자
- 임선아
- 수록페이지
- 159-184 p.
- 발행일자
- 2015.01.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특성, 양육방식 및 유아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와 같은 관계가 취업모 집단과 비취업모 집단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탐색하였다. 따라서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자료(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의 3차(2010년)부터 5차(2012년) 조사에 모두 참여한 연구대상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취업모의 경우 양육스트레스는 긍정적 양육방식에 부적영향을, 유아 문제행동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비취업모의 경우에는 양육가치가 긍정적, 통제적 양육방식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양육스트레스가 긍정양육방식에 부적, 문제행동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취업모의 경우에는 통제적 양육방식을 취할수록 유아 문제행동의 빈도가 높아졌지만 비취업모의 경우에는 이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취업모의 경우, 양육가치와 양육스트레스가 통제적 양육방식을 매개하여 문제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던 것에 비해 비취업모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in Korea is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mothers’ employment and child-raising syste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structural relationship in terms of maternal parenting variables - especially those related to parenting knowledge, value of having childr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tyles which influence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t also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in term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Data from a total of 1,555 mothers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were utilized. Results showed that for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parenting stress negatively predicted positive parenting style while it positively predicte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r non-employed mothers, value of having children significantly predicted positive and controlling parenting styles. The difference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as found in the prediction of a controlling parenting style; only employed mothers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path from a controlling parenting style to problem behavio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