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유치원 원장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어린이집 원장의 처우개선방안(Treatment Improvement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By Comparison Analysis of Kindergarten Directors - Main Discussion on Law and Regulation -)
- 개인저자
- 이서영
- 수록페이지
- 25-44 p.
- 발행일자
- 2015.03.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그동안 보육교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왔던 어린이집 원장의 처우에 대해 해당 법률(영유아보육법, 유아교육법, 근로기준법, 사립학교법, 교육공무원법) 규정과 사업안내 지침 등을 통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어린이집 원장의 법적지위, 보수체계, 사회보장(퇴직급여, 실업급여), 처우개선비 및 수당, 복무관리 및 근무여건, 신분보장과 자율성보장 등 총 여섯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유사직종인 유치원 원장의 처우와 비교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집 원장의 처우개선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해보고자 함이 주된 연구목적이다. 이를 통해 향후 어린이집원장의 처우개선을 위한 정책수립 및 관련법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treatment through the law(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child care act, labor standard act, private school act, public education personnel and staff act) and regulation.
This study covers six main aspects. Legal status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ay system, social security systems(retirement benefits, unemployment benefits), treatment improvement fee and allowance, the service regulations and working conditions, social status and autonomy guarantee.
Also,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by comparison analysis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directors.
Based on the result, the research aims to review the problems in treatment improvement for the current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