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기혼영아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일과 가정의 양립갈등, 소진, 자아탄력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Recogni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of Married Infant Car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s, Burnout and Ego-resilience)

개인저자
이지영
수록페이지
103-125 p.
발행일자
2015.05.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기혼영아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일과 가정의 양립 갈등, 소진, 자아탄력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기혼영아보육교사의 바람직한 역할수행을 돕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기혼영아보육교사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급 보육교사 자격과 총 경력, 재직경력이 많을수록 역할수행의 하위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기혼영아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일과 가정의 양립갈등, 자아탄력성, 역할수행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진은 자아탄력성, 역할수행과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기혼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영향력은 교직전문성 인식, 자아탄력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과 가정의 양립갈등과 소진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recogni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of married infant car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s, burnout and ego-resilience. A survey of 216 married infant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was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shown among the sub-domains of role performance based on the types of teaching certification, total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years of employment in the current childcare center. Second, there was a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ship in the recognition of married infant 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work-family conflicts, ego-resilience and role performance. However, burnout did not appear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go-resilience and role performance. Third, recognition of married infant 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the best predictor of their role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married infant car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