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성격특성과의 관계(Differences in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by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Self-leadership)
- 개인저자
- 서윤희
- 수록페이지
- 151-175 p.
- 발행일자
- 2015.05.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교사의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과의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공립유치원 교사 191명, 사립유치원 교사 189명으로 총 380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경력, 학력, 연령, 결혼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중심적 전략에서는 학력, 경력, 결혼유무, 자연적 보상전략에서는 학력, 건설적 사고패턴 전략에서는 연령, 학력, 경력, 결혼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기관유형, 보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담당학급 원아연령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셀프리더십 전략별로는 행동중심적 전략에서는 근무기관 유형, 월평균 보수, 건설적 사고패턴 전략에서는 근무기관 유형, 보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적 보상전략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성격 특성 중 성실성,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순으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related with self-leadership levels.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were their basic background, job conditions and five major personality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0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acher's age, marital status, and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acher's type of kindergarten and monthly mean pay. Third,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had a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ive major personality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