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병원학교 거점 병원의 입원 영·유아를 위한 보육서비스 실태와 개선 방안(The Study of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in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s for the Hospitalized Young Children : Focusing on Hospitals being the Hospital Schools)
- 개인저자
- 차경나
- 수록페이지
- 177-197 p.
- 발행일자
- 2015.05.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전국의 병원학교 거점 병원 22개소의 병원학교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와 병원학교 담당자들과의 전화인터뷰를 통해 병원학교 거점 병원의 입원 영․유아를 위한 보육서비스 제공 실태를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병원의 입원 영․유아들의 발달권과 교육권을 보장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22개 병원학교가 입교해 있는 병원과 병원학교 내 입원 영․유아만을 위한 보육시설과 전문교사가 있는 곳이 한 곳(4.54%)이었으며, 교재 및 교구 그리고 보육 및 교육프로그램제공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둘째, 입원 영․유아들은 병원학교시설을 이용하기를 희망할 경우 병원학교의 내부적 규정에 따라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별활동에 참여하여 초등학교 저학년의 교재, 교구를 나누어 사용하고 있다. 이에 신체적․정서적으로 더 적극적인 보육의 역할이 필요한 입원중인 영․유아들을 위한 병원 내 보육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a hope to provide opportunities and form environment for hospitalized young children to provide them with equal levels of child care and educational services as that of normal healthy young children. On these grounds, the 22 hospitals that have the hospital schools in Korea have been surveyed and phone interviewed on their current sta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al services for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between these 22 hospital schools, one hospital school were providing educational facilities and professional child care providers for hospitalized young children. Also, the learning materials and child care service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hospitalized young children were very scarce. Secondly, when young children in hospitals wishes to use the facilities provided by hospital schools, they were provided with the special programs for the elementary level students. Books and educational materials were also shared. Therefore, more active child care and educational systems should be implemented in hospitals for hospitalized young children who are in need of more physical and mental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