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 실태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음악적 능력 차이(The Effect of Musical Ability of 5-year old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s, Times, and Methods of Music Activities)

개인저자
최민수
수록페이지
51-74 p.
발행일자
2017.01.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실태조사는 G광역시에 소재한 11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175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유아음악 교육환경, 음악활동의 실시정도를 파악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4-7세의 인지적 수준과 음악에 대한 포괄적 이해능력을 측정하고자 개발된 유아음악적성 검사도구(Musical Talent Test, 2000)를 본 연구자가 27문항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 따른 유아의 음악적 능력은 직장어린이집, 유치원, 민간어린이집 순으로 높았고, 정규시간 음악수업 시수에서는 주4회 이상, 주2회 적용 시 높았으며, 특별활동 음악수업의 경우에서는 주3회 이상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활동방법에서는 노래부르기 활동이 음악감상/노래부르기 활동에 비하여 음악적 능력 중 고저능력과 화음능력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노래부르기 활동 시 사용하는 매체로는 CD/영상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음악교육 시수, 방법을 포함하는 음악교육환경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기초적인 실증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ren music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and current musical activity. The target population is 175 5-year-old children from 11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G-metropolitan city. We developed 27 items for our questionnaire based on the “Musical Talent Test, 2000” which tests the perception level of children aged 4 to 7 and their comprehension of music.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musical ability of the young children was determined with a keyword at the education institution. The workplace nursery earned the highest score, and the kindergarten and the private nursery placed 2nd and 3rd, respectively. In the case with the keyword and the number of regular lectures, 4 times a week or more was higher than 4 times a week or more. In the cas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4 times a week or more earned the highest score. Second,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of musical activities, the singing activity was higher than the listening activity in terms of the pitch and harmony. Moreover, we examined the use of a CD player and video in the singing activity. Singing was the most effective approach to improve the musical ability of 5-year-old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