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유아 다문화이해 교육프로그램이 유아다문화인식과 조망수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Children Multi-cultural Perception Education to the Cognition of Multi-culture and to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 개인저자
- 이선애
- 수록페이지
- 1-32 p.
- 발행일자
- 2017.09.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다문화이해교육은 민주주의 이념인 ‘함께’와 ‘공동체의 선’을 기반으로 사회적 가치를 인식하고 인종, 생활양식, 계층, 사회편견 등을 다룸으로써 유아기에 발달하는 조망수용능력과 비판적 사고를 촉진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가 인식하는 환경에서 삶의 구성요소로 다문화를 이해하여 다문화인식과 조망수용능력의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구성절차는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유아 다문화이해교육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누리과정과의 연계를 위해 생활주제와 접목한 다문화 교육내용을 추출하고 다문화적 교수법 및 단기평가과정을 거쳤다.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위해 만 5세 유아에게 12주간 36회기를 적용하였으며 유아의 다문화인식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유아에 다문화인식의 가치를 탐색하고 의미를 구성해 보는 유아 다문화이해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유아가 인식하는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한 유아 다문화이해교육의 방향과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Multi-cultural Comprehension Education Program has a high educational value and meaning as it promotes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critically thinking ability of a child in early childhood; by cognizing the society’s value and dealing with the issues such as race, life style, class, stereotypes based on the idea of being ‘unified’ and ‘virtue of the society’, the idea of democrac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multi-cultural cognition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y; by understanding multi-culture as an element of the life in the environment of child. For this, this program has set its aim on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dvanced research. And for the connection with the child education (‘Nuri’ curriculum), it extract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combined with life style factors, and went through the multi-cultural teaching methods and short-evaluation process. The experiment of applying this program on children of age 5 for 36 times on an 12 week basis has proved the effects of children’s multi-cultural cognition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e result proves that it emphasizes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multi-cultural comprehension program that investigates the value of children’s muti-cultural cognition and makes the meaning. Also it increases the multi-cultural cognition which the children perceive and their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Hence, this result can provide a theoretical evidence and guideline for a reliable multi-cultural comprehension program in the childhood education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