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라 전문성 유지를 위한 보수교육에 관한 연구(A Study on Education of Childcare Teacher to Maintain Professional Development)
- 개인저자
- 김양은
- 수록페이지
- 1-26 p.
- 발행일자
- 2018.07.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들이 경력에 따라 전문성 유지를 위해 필요하다 생각하는 교사교육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초임에서 고경력교사까지 다양한 경력의 보육교사 17명이었으며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경력 1-2년의 초임교사들은 영유아행동지도, 부모상담, 교수법과 같은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육을 필요로 하였으며, 교실 내 고립에서 오는 부담감을 토로하였다. 3-4년의 예비경력교사들은 교사 업무 전반에 대해 보다 능률적이고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필요로 하였다. 또, 기존에 해오던 방식을 고수하는 것에 대한 회의감과 소진에서 오는 심리적 갈등도 경험하고 있었다. 5년 이상 된 경력교사들은 선임 혹은 주임교사가 되면서 직급과 역할에 맞게 이전보다 더 깊이 있는 이론적 지식과 아동심리, 전문적 부모상담 기술이 필요하다 하였다. 10년 이상의 고경력교사들은 현장에 대해 고루 알긴 하지만 인성교육, 교사로서의 마음가짐을 되짚어 주는 기본교육, 중간관리자로서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는 교육 등이 필요하다 하였다. 아울러 상호작용과 부모상담에 대한 교육은 경력에 상관없이 모든 단계의 교사들이 요구하는 복합․순환적 지식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 수요자의 입장에서 다양한 경력의 교사들의 교육요구를 파악해 봄으로써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교사의 전문성을 개발하고 유지할 수 있는 현직교육이 개발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teacher education that the though to be necessary to maintai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work experie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 childcare teachers with varying experience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 showed that new teachers with one to two years of work experience reported they need education that can be immediately applied in the field such as behavioral instruc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parent counseling, and teaching method and expressed pressure of being isolated in the classroom. Semi-experienced teachers with 3 to 4 years of experience wanted to gain knowledge that can help them perform overall tasks as a teacher in a more efficient and systematic way. In addition, they reported skepticism about continuing to use the same techniques and psychological conflict caused by exhaustion. Experienced teachers with five years or more experience reported they need more in-depth theoretical knowledge of teaching, child psychology, and professional parent counseling techniques that is suitable for their position and role as a principal or senior teacher. Highly experienced teachers with 10 years or more experience reported, although they have broad knowledge of the field, they need personality and other types of education that will remind them of the basic qualities required among teachers as well as education that will help them broaden their view as an intermediate manager. Furthermore, education on interaction and parent counseling was, regardless of the experience level, demanded by all teachers as comprehensive and circulatory knowledge.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help understand educational demands of teachers of varying experience levels and develop professional education for teachers that can help improve expertise of teachers from the viewpoint of lifelong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