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탈가족화 관점에서 여성연금제도의 비교(A comparative study on women’s pension -of U.S.A, Germany, and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defamilialization-)
- 개인저자
- 정연택
- 수록페이지
- 193-221 p.
- 발행일자
- 2017.08.28
- 출판사
-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제도의 특수성을 파악하기 위해 탈가족화 관점에서 미국, 독일, 한국의 기여방식 여성연금제도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우선 탈가족화 개념과 모형, 그리고 연금제도에 대한 선행연구와 분석기준을 검토한 후, 본 연구의 시각과 분석기준을 제시하였다. 내용적으로는 각 국가별 여성연금 급여를 독립적 수급권과 파생적 수급권으로 구분하여, 양육이나 돌봄크레딧, 최저가입기준과 최저가입기간, 분할연금과 혼인, 이혼, 사망에 따른 배우자 급여 등을 구체적으로 비교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자립적 가구 형성과 유급노동에 대한 유인(강제)이라는 두 기준을 합한 탈가족화 기준에서 독일이 미국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유급노동에 대한 유인 기준에서는 미국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탈가족화 기준에서 미국과 독일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여성연금제도는 미국보다는 독일과 더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elfar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defamilialization by comparing contributory women’s pension between USA, Germany, and Korea. From the analysis of existing literature, I extracted some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women’s benefit in the old age pension system and defamilialization. Defamilialization can be characterized in the promotion of an autonomous household(of women) by means of autonomous entitlement and of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commodification). The women’s pension in this study includes both the autonomous benefit in the form of credit for raising children and care and pension splitting and the derivative benefit in form of spouse’s benefit in cases of marriage. divorce. and survival. The analysis includes the minimum condition for the coverage and minimum covered years for pension entitlement because the generous minimum conditions promote autonomous entitlement for women.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e overall degree of defamilialization (in sum of both autonomous household and labor market participation criteria) in Germany is higher than in USA. Korea lies in between. But in the criteria of labor market participation alone is the degree of defamilialization in USA a little higher than in Germany. Korea lies in between. Finally,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women’s pension in Korea shows more closeness to those in Germ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