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미국 연방공무원연금의 1986년 개혁 분석(On The 1986 Pension Reform Of The Federal Civil Service Retirement System In The United States)
- 개인저자
- 김재경
- 수록페이지
- 27-53 p.
- 발행일자
- 2015.02.28
- 출판사
-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미국 연방공무원의 노후소득보장체계를 개괄한 후 1986년 개혁이 어떤 배경 하에서 어떤 개혁의제를 갖고 어떤 정책결정과정을 거쳤는지를 탐색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그 결과 및 성과, 한계가 무엇인지를 짚어본다. 이 개혁으로 새로이 확립된 재정운영체계와 비용조달방식을 살펴보고 30여 년이 흐른 시점에서의 재정 현황 및 전망 상황을 진단하여 봄으로써 1986년 개혁의 정치․경제적 의미를 되짚어보는 동시에 우리나라 공무원연금 개혁논의에 참조할만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주요 특징으로, 첫째, 연방정부와 상․하원 연방의회의 치열한 타협과정을 거친 하향식 연금개혁을 추진하였다. 둘째, 이 개혁은 30여년이 흐른 지금에도 별다른 조치 없이 기본 틀을 유지하고 있을 정도의 성공적인 개혁이기도 하였다. 셋째, 그 이유는 보험수리적 균형체제를 지향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서 정부의 역할 강화를 통해 재정운영방식과 정부 비용부담체계를 재편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우리나라에서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는 ‘연금체계상 민관 형평성’,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등 각종 개혁의제(reform agendas)가 사후적으로 담보되는 흥미로운 결과를 맞이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1986 pension reform of the Federal Civil Service Retirement System in the United States. That is, we try to conduct a case study on the political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reform in addition to its background and reform agendas. Moreover, we re-evaluate the reform in terms of the current financial status and long-term financial perspective. Several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discovered during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form turned out to be top-down reform process engineered by various competing consultations among the Federal Government, the Senate and the Congress. Second, for over 30 years, the pension structure built upon the reform has been maintained on a solid basis. Third, the most important reason could be that the reform tried to streamline the system in order to achieve its actuarial balance, with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Federal Government as an employer. Forth, reform agendas such as public-private pension equity and multi-pillar old-age security system, which happen to be paramount concern in our reform talks, were accomplished as unintended consequ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