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국민연금 재정추계를 위한 주요 거시경제변수 장기전망 모형에 대한 연구(A study of long-term structural model of major macro-economic variables for National Pension's financial projections)

개인저자
박무환
수록페이지
73-100 p.
발행일자
2012.05.19
출판사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국민연금재정의 장기 추계모형인 연금수리모형(actuarial model)에 외생변수로 투입되는 주요 거시경제변수들의 장기 전망을 위한 구조적인 거시계량모형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신고전학파의 생산함수 접근법에 입각하여 주요 거시경제변수들인 임금상승률, 이자율, 물가상승률 및 경제성장률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연계하는 이론모형을 구축한다. 또한 모형의 현실 설명력 측면에서 역사적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검증 결과 장기 전망모형으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금융-실물 변수들을 연계한 실증모형을 구축한다. 부가하여, 장기 전망 사례로 실증모형에서 외생변수로 가정한 노동력 증가율, 노동소득분배율, 자본-산출계수, 자본스톡증가율,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의 3개 시나리오에 따라 실질 경제성장률, 실질 임금상승률, 실질 금리 및 물가상승률에 대하여 2011~2060년까지 장기 전망을 수행한다. 서로 다른 추정방법론 및 외생변수에 대한 가정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장기 전망치 범위에 국민연금 재정추계위원회(2008)에서 가정한 주요 거시경제변수의 값들이 거의 대부분 포함되고 있다는 점에서 본 모형은 장기 전망모형으로서 수용성(feasibility)이 있다고 판단된다. In view of the key macroeconomic variables, which are exogenous inputs in the actuarial model designed for long-term financial projections of the National Pens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structural macro-econometric model for long-term economic forecasting. In line with this purpose, we develop a theoretical model which is explicitly linked with the key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wage inflation, interest rates, inflation rate, and GDP growth rate based on the neoclassical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 approach. We also construct an empirical model consists of financial-real variables linkages, which is verified as a valid long-term forecasting model in the sense of explanatory power of reality by the validity testing results using historical time series data. In addition, we provide an illustrative example of the long-term projections of real GDP growth, real wage inflation, real interest rates, and inflation rate for the period of 2011~2060 along with 3 scenarios of assumed exogenous variables in the model, which are labor force growth rate, labor income share, capital-output coefficient, capital stock growth rate,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rate. It can be judged that the above model has a feasibility in terms of long-term forecasting model in the sense that the assumed values of key macroeconomic variables by the National Pension actuarial projection committee(2008) are almost all in the range of projected values of this study in spite of different estimation methodology and assumptions about exogenous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