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국민연금가입요인에 관한 성별 격차(Gender Gap in Factors on Joining National Pension: A Multi-level Analysis)

개인저자
박찬웅
수록페이지
1-24 p.
발행일자
2012.11.30
출판사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이 연구는 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다수준분석기법(multi-level analysis)를 사용해서 국민연금 가입에 미치는 요인들이 개인 수준과 가구 수준에서 어떤 것이 있으며, 남녀에 따라 연금 가입에 미치는 요인이 어떤 차이가 있는가에 초점을 분석함으로써, 노후보장 수준과 관련해서 관찰되는 성별 격차의 원인을 찾아내고자 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모두 개인 특성으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결혼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공적연금에 가입할 가능성이 더 높다. 둘째, 가구 특성으로는 남녀 모두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초등학생 자녀수가 적을수록 공적연금에 가입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셋째, 자녀수가 연금 가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금 가입이 단순히 개인의 경제활동 특성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구 특성 역시 중요하며, 특히 이런 가구 특성의 요인은 여성에게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노후 보장 관련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연금보험료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을 하거나, 육아 및 보육과 관련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한 정책방안이라는 것을 제시했다. This study examined individual and household level factors on joining national pension. Using the labor panel data of the Korea Labor Institute, this study applied a multi-level logit analysis of individual and household level factors on a possibility of joining the pension. The result showed that, at individual level, education, job stability, and marriage had positive effects on joining the pension. At the same time, controlling all the other individual factors, women were less likely to join pension, compared with men. The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at household level, household income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number of children had a negative effect on joining the pension. More importantly, controlling other variable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ldren affected women negatively more than m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ose factors on pension participation vary between men and women. Thu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gender sensitive policy to cope with old age poverty of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