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국민연금 실업크레딧의 실효성에 대한 연구(A Study On Effectiveness Of Unemployment Credit In National Pension: Analysing Benefit Adequacy And Applicability)
- 개인저자
- 김진수
- 수록페이지
- 49-74 p.
- 발행일자
- 2015.08.28
- 출판사
-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한국에 도입될 실업크레딧 제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급여수준 적정성 및 적용가능성을 기준으로 실행하였다. 첫 번째 기준인 실업크레딧의 급여수준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해외의 실업크레딧 정책을 분석하였다. 분석 국가는 독일, 영국, 프랑스, 일본의 4개국이며 적용대상, 인정소득수준, 인정가입기간, 재정부담방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외국 사례와 비교한 한국의 실업크레딧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적용대상의 측면에서 실업자 전체를 포괄하는 외국에 비해 한국은 실업급여 수급자만 포괄한다. 둘째, 인정가입기간 규정에 있어서 한국은 회당 산입기간제한과 생애 산입기간 모두 제한을 두고 있어 비교 대상 국가들에 비해 엄격하다. 더하여 연금 수급을 위한 최소가입기간이 길어 실업크레딧의 실효성에 제약이 있다. 셋째, 개인소득수준이 연금의 수준에 반영되는 가운데 실업크레딧을 통한 인정소득수준이 낮아 최종 연금액의 하락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실업크레딧은 다른 나라와 다르게 유일하게 자부담이 존재한다. 두 번째 분석기준인 적용가능성의 평가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14차와 15차 개인력과 직업력을 병합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의 실업크레딧의 포괄범위는 고용보험의 실업급여 적용 사각지대와 유사하여 그 대상자의 적용범위가 넓지 않음이 실증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업크레딧 비적용자가 실업크레딧 적용자보다 취약함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 한국의 실업크레딧은 사회적 보호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실업크레딧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급여 수준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paper analyses unemployment credit(UC) in Korea National Pension. Benefit adequacy and applicability are used as the two criteria of analysing. To evaluate the adequacy of the benefit, this study compares Korean UC with that of Germany, United Kingdom, France and Japan by sub-criteria of coverage, reference earning, crediting period and financ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C in Korea compared to that in the other countries is followed. First, the UC in Korea only covers recipients of unemployment benefit in Unemployment Insurance(UI) while that of the other countries tries to cover all the unemployed. Second, reference earning of the UC in Korea is so small that it can adversely affect the amount of pension. Third, UC of Korea credits relatively shorter period in that the credited period is limited in a year. Considering National Pension in Korea has relatively longer qualifying years, it can limit the adequacy of the UC. Lastly, Korean UC is the only system which the recipients themselves should contribute(a quarter of one's contribution) to the pension scheme.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Korean UC, the merged dataset of the individual dataset and work history dataset of 14th and those of 15th of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is used. The statistical findings suggest that since the coverage of the UC is connected to unemployment benefit coverage in UI, it shares the blind spot of UI which is not wide enough to cover the unemployed. Especially, those who are within the blind spot are found to be more vulnerable than those who are not, which means it lacks in targeting vulnerable people in labour market. The paper concluded that the UC in Korea cannot fulfill its goal of social protection. Therefore, there needs to be extension of coverage and improvement in the level of pro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