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한국의 사회서비스와「사회복지사업법」(Social Service and「Social Welfare Services Act」in Korea: Analyzing Their Regulatory Relationship)
- 개인저자
- 김영종
- 수록페이지
- 57-83 p.
- 발행일자
- 2014.11.28
- 출판사
-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서비스의 제도적 형성과 발달을「사회복지사업법」이라는 규제 체계와의 관계로써 설명해보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이들 간 관계가 동반(coupling) 혹은 이완(decoupling)일지를 신제도주의적 관점과 경로의존 이론에 의거해서 분석해보고, 이를 근거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연구의 주된 내용은 사회서비스 공급을 산업체계의 분석 개념으로 구성하고, 제도적 규제로서의「사회복지사업법」에 대한 연혁적 자료(1970년 제정에서 2014년 개정까지)를 수집해서 분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연구 결과, 한국 사회서비스의 독특한 전화(轉化) 경로는 이 제도를 관장하는 기본 규제법인「사회복지사업법」과의 연관성(‘지체된 적응’)을 통해 설명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2000년대 이후 새롭게 등장한 보편적 사회서비스와 바우처 공급 방식의 결합 유형(3세대 사회서비스)으로 인해, 기존 사회복지서비스(1, 2세대 사회서비스) 위주의 규제 체계로 발전해왔던「사회복지사업법」경로로는「사회보장기본법」이 천명하는 포괄적 개념의 사회서비스를 더 이상 수용하기 어렵다는 분석 결과도 제시한다. 본 연구의 함의는「사회복지사업법」의 발전적 해체와 함께 사회서비스에 대한 기본 선언 형태의 ‘사회서비스 기본법(가칭)’ 제정과 개별 사회서비스 분야법들의 자유도 확대의 방식으로 규제 체계를 변화시킬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elfare Services Act(SWSA) as a set of institutional regulations 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ocial service in Korea. That is, wether the relationship might represent the state of ‘coupling’ or ‘decoupling’ is to be analyzed based on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of new institutionalism as well as path dependency. This provides proper policy implications to this subject. The study is composed of what follows: constructing analytic concepts for social service as an industrial system, data gathering on the periodical revisions of SWSA, and analyzing those data as institutional regulation governing social service sector in Korea. The result shows the path of social service development has been closely related to the regulation system imposed by SWSA, and also shows the ‘deterred adaptation’ to the changed mode of providing newly introduced social services. This study also finds that the advent of the third generation social service (so called ‘voucher social service’) has forced the existing path of SWSA regulation system for the all social services to be no longer proper. As a result, it suggests the proper action for the SWSA regulation system might be to decompose and reconstruct it as a ‘basic act on social service’ and many specialized acts for regulating various social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