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노동시장 구조를 고려한 산재보험 적용확대의 방향(The priority of expansion of WCI coverage considering a labor market structur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designated driver)

개인저자
오종은
수록페이지
119-146 p.
발행일자
2014.11.28
출판사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산업재해보상보험(이하 ‘산재보험’이라 한다)법이 근로기준 특별법으로 도입된 것이 1964년으로 올해는 50주년이 되는 역사적인 해이다. 그동안 산재보험은 근로자를 재해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사회 안전망으로써 노동자 보호를 위한 주요 역할을 해왔다. 1964년 첫 도입 시 상시근로자 500인 이상의 사업장에 적용이 시작되었고, 67년에는 100인 이상, 87년에는 5인 이상까지 확대되었으며 이후로도 지속적인 적용 확대를 통하여 2000년 7월 1일 부터는 1인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에까지 적용이 되었다. 이에 따라 1964년 적용당시 64개 사업장 81,798명의 적용근로자에서 2013년 기준 1,977,057개 사업장, 15,449,228명의 적용근로자로 증가하였다. 이와 함께, 산재보험 사각지대로 볼 수 있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이하 ‘특고자’라 한다)에 대한 적용 확대가 2008년부터 시행되어, 2012년에는 퀵서비스종사자와 택배업무 종사자까지 적용이 확대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적용 확대 대상 직종과 향후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대리운전, 가사사용인 등과 같은 직종을 비교하면 적용 확대 시 더 많은 고민들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최근 논의 되고 있는 직종들의 경우 산재보험법의 모법인 근로기준법에 따라 기본적으로 충족해야 하는 근로종속성부분을 입증하기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노동시장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앞으로는 근로종속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종사자들이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향후 산재보험 적용 확대가 논의 되고 있는 직종 중에서도 대리운전 종사자들의 실태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대리운전종사자와 기존 적용 대상자들과의 차이점을 검토하고 향후 적용 확대의 방향을 정리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검토는 산재보험 적용 확대가 지속되고 있으나 근로종속성 부분의 입증이 어려워 특고자로 산재 적용이 되기 어려운 직종 종사자들에 대한 향후 적용 고민을 해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was introduced as the Labor Standards Act in 1964, it has become 50th anniversaries, which is a historical moment. So far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protection of laborers as social security system for workers from the danger of an industrial accident. When it was introduced in 1964 for the first time, the company where more than 500 workers were working adopted it, and more than 100 workers, even five workers were entitled to insurance coverage in 1967 and 1987. With the continuous expansion of application of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it has been applied in the place where one or more workers work since July 1st 2000. In accordance with it, applied workers’ number increased from for 81,798 workers in 64 companies in 1964 to for 15,449,228 workers in 1,977,057 companies in 2013. An expansion of application for ‘Special type of labor workers’, that can be said to be the blind spot of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has been conducted from 2001, even for motorcycle dispatch riders or postmen in 2012. The efforts are to be continued. However, compared to the applicable jobs from now and jobs considered for the future such as the designated driver, housekeeper, and so on, much more efforts are needed for the expansion of coverage. Because, jobs that have been recently discussed are placed in a hard situation to demonstrate the subordinate relations to the employers, that basically need to meet according to th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Act, a mother law of the Labor Standards Act. Due to flexibility of labor market, the number of workers who unable to figure out the subordinate relations to the employers will continually increase. Therefore, I arrange the ways of future expansion of application that is about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and look through the differences between existing applied objects and the designated drivers in this research paper with the results of the survey about the designated drivers in jobs considered for the enlargement of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application. The review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olving the future applied matters for the workers who have quite low chance to be entitled to insurance coverage for industrial accident since it is hard to support the subordinate relations to the employers though th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continues to exp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