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고졸 청년의 좋은 일자리 이행추이와 이행확률 영향요인 분석(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ransition probability from school to good job: comparison between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and vocational school graduates)
- 개인저자
- 정영순
- 수록페이지
- 153-181 p.
- 발행일자
- 2016.11.28
- 출판사
-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졸업 후 6년 간 좋은 일자리로의 이행추이와 이행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전문계와 일반계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좋은 일자리 이행기간이 전문계 17개월, 일반계 57개월로, 일반계 출신 청년의 좋은 일자리 이행이 전문계 보다 훨씬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자리 이행 패턴도 달라 전문계 출신의 경우 졸업 3개월 이전에 일자리 이행율이 가장 높은 반면에 일반계 출신의 경우 이행율이 졸업초기부터 낮아, 졸업 초기에 일반계 출신의 좋은 일자리 이행이 아주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콕스 비례적 위험회귀모형 분석결과, 좋은 일자리 이행에 영향을 미쳤던 변인들은 출신 학교형태별로 나누었을 때 전문계와 일반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로 완전히 구분되었다. 전문계의 경우 성별, 성적, 졸업후 일경험이, 일반계는 재학중 아르바이트경험과 실업률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좋은 일자리로의 빠른 이행을 위해 모든 고졸 청년에게 동일한 전략을 적용하기보다 출신 학교형태를 고려해서 차별화된 전략을 펼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This study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transition probability from school to good job of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he result of Kaplan-Meier analysis shows that the mean of transition period of school to good job is 17 months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uates and 57 months for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indicating that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experience much more difficulty in the transition than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t is proven that the pattern of the transition is also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showing that the transition rat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s the highest within 3 months after graduation, while the rate of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is low from even early stages after graduation. The results of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analysis founds that variables affecting the transition probability from school to good job are thoroughly differed by the types of high schools from which they graduated.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variables such as gender, school record and work experience after graduation affect the transition probability, whereas variables such as work experience in school and unemployment rate affect for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support fast transition from school to good job of high school graduates it is more effective to use different strategies based on the types of high schools rather than to apply the same strategies to all high school gradu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