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유형과 그 결정요인(A Study on the Type of School-to-Work Transition and its Determinants)

개인저자
박미희
수록페이지
21-49 p.
발행일자
2014.12.30
출판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는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정을 전체적인 시각에서 조망해보고, 청년의 상이한 이행을 설명하는 요인을 이론에 기초하여 검증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년패널2차 웨이브 1차~6차 자료를 활용하여 졸업 후 48개월 동안의 노동시장 이행궤적을 추정하고 유형화하였다. 또한 이행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인적자본론, 지위획득이론, 신호이론, 사회자본론에 기초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중심추세분석을 활용하여 이행궤적을 추정하고 유형화한 결과,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유형은 ①노동시장미진입형 ②상급학교진학형 ③장기준비형 ④단기준비형 ⑤불안정노동형 ⑥상용이탈형 ⑦상용지속형의 7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층의 상이한 이행유형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7개 유형에 기초해 취업-미취업, 취업-미진입, 준비후취업-불안정노동-상용취업, 상용지속-상용이탈, 단기준비-장기준비의 다양한 모형을 설계하여 로짓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노동시장진입자체(미취업, 미진입, 준비후취업)는 지위획득이론(가구배경)에 의해 주로 설명되고, 진입의 질적 측면을 나타내는 상용취업여부, 상용지속여부 등은 사회자본론(개인적 인맥)과 신호이론(대학위세도)에 의해 주로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적자본론은 청년층의 이행 유형을 제한적으로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presentative type of school-to-work transition trajectory of youth in Korea and to find out factors affecting on the trajectory type. This study used the second wave(2007~2012) of Youth Panel data for Graduates in 2007 and 2008. Using the group-based trajectory method, we examine youth’s transition trajectories for 48 months after graduating. As a result, we identified seven trajectory types: ① not-entered ② entering school ③ long-term preparation ④ short-term preparation ⑤ precarious working ⑥ keep-permanent working and ⑦ exit-permanent working. Using various logit and multinomial logit model, we identified the determinants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jectory based Human Capital Theory, Status Attainment Theory, Signaling Theory, Social Capital Theory. The results show that the Status Attainment Theory explained very well whether to enter the labor market. The Signaling Theory and the Social Capital Theory explained well the quality of the labor market entry. But the Human Capital Theory explained the trajectory types only a lim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