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신건강이 자활성과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Participant’s Mental Health on Workfare Program Outcome)

개인저자
박재민
수록페이지
125-146 p.
발행일자
2014.12.30
출판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신건강이 자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앙자활센터의 자활사업 참여자 패널구축연구(2012)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그 중 전국 247개의 지역자활센터 근로자 1,293명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정신건강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사회적 자활성과가 높게 나타났고, 알코올문제의 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적 자활성과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을 수 있는 사회복지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자활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며,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경우 제공되는 자활프로그램 이외에 정신건강 문제를 관리할 수 있는 사회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신건강 문제를 관리 할 수 있는 지속적인 사회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influence of participants’ mental health on the outcome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in order to providing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y. This study examined a panel survey data of South Korean The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Subjects of analyzation were 1,239 workers from 247 community self sufficiency centers in South Kore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cross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gure out the participants’ attribut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figuring out the relation between mental health and workfare program outcome.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suggest some implications about policy. The political support on the participants’ mental health is crucial to achieve better outcome. In case of participants who are currently taking parts in the program and suffering from mental problems, social service which can manage their mental health problem should be provided. The mental health problem tends not to be sol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requires steady management. Therefore, providing continuous social service for mental health care of participants in a workfare program is required to improve the out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