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저축이 청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Impact of Saving on Youth's Happiness)

개인저자
이종아
수록페이지
75-100 p.
발행일자
2015.12.30
출판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제10차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여 저축하는 청년이 더 행복한가를 조사하였다. 청년의 어떤 특성이 저축액과 연관되는가를 분석하였고, 저축이 청년의 행복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저축을 통한 자산형성과 청년의 행복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통제변수로 성별, 건강상태, 혼인상태, 학력, 근무형태와 월소득액, 한달용돈, 총자산, 총부채를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저축액이 많을수록 청년의 주관적 행복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에서는 건강할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직업이 안정적일수록 행복도가 높았으며, 기혼일수록, 총부채가 많을수록 행복도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청년의 저축을 통한 정책적 함의점들을 제시하였다. Youth in Korea faces challenging life tasks such as dating, marriage, child-bearing, and employment. This study assumes that saving of youth can modify youth's perceptions of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Using a survey(10th data) of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n Kore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saving influences happiness of youth. In addition, this study which factors affect savings of youth.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savings are positively related to happiness of youth. Second, physical health,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marital status, and total debt a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happiness of youth. Last, savings of youth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many factors such as gender, health, marital status, education, employment status, income, total assets, and total debts. The findings suggest that asset building through savings influences happiness of youth and that asset building programs targeting youth should be expanded to enhance chances of making youth much happ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