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제조업 사업장의 안전보건활동이 안전보건수준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저자
- 이경용
- 수록페이지
- 79-111 p.
- 발행일자
- 2011.12.06
- 출판사
- 한국사회정책학회
초록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안전보건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사업장의 안전보건수준은 다양한 안전보건활동을 통해서 향상될 수 있다. 사업장의 안전보건활동은 법적 규제에 대응하는 활동과 경제적 합리성에 근거해서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체의 다양한 안전보건활동 중에서 사업장의 안전보건수준에 대한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 무엇이며, 위험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2009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실시한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자료이며, 이 중에서 제조업체 응답 자료만 선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사업장의 다양한 안전보건활동을 범주화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한 결과 사업주의 일반적인 안전보건경영활동, 근로자 건강관리 활동, 화학물질 관리, 보호구 및 유해위험기계기구관리, 및 정보전달과 의사소통 등의 5개 하위 활동으로 분류되었다. 5개로 분류된 안전보건활동은 모두 사업장의 안전보건활동 수준에 대한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에서 사업주의 일반적인 안전보건경영활동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위험도에 대한 인식은 5%의 유의수준에서 보호구 및 유해위험기계기구 관리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안전보건수준에 대한 인식과 위험도에 대한 인식이 서로 다른 차원으로 구성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단면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인과관계에 대한 해석에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안전보건활동의 다양성을 충분히 포괄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