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보건의료 정책결정과정에서 환자 및 시민참여 연구: 영국 신노동당정부의 국영의료체계 내에서 환자 및 시민참여 사례들을 중심으로(In serarch for patient and public involvement in health care policy-making process: case studies of England NHS under new labor government (1998-2009))
- 개인저자
- 이원영
- 수록페이지
- 175-205 p.
- 발행일자
- 2012.12.31
- 출판사
- 한국사회정책학회
초록
이 연구는 1998년부터 2009년까지 영국 노동당 집권기간동안 국영의료체계(NHS)의 환자 및 시민참여 정책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노동당 집권초기부터 환자 및 시민참여 프로그램들이 국영의료체계에 적극 도입되었으며 집권 중반 2004년 이후 시장주의적 의료개혁의 강화로 다소 후퇴하였으나 지속적으로 운영되었다. 환자 및 시민참여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참여기준을 충족했는지와 최종의사결정에 참여가 영향력을 미쳤는지를 평가하였다. 지역주민참여네트워크(Local Involvement Network)는 지역단위별로 의료 및 사회서비스 중개를 책임지는 지역의료트러스트와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지역주민이나 환자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조직으로 참여자들의 대표성은 떨어졌지만 정보접근성, 참여자의 의견이 의사결정에 반영될 수 있는 공식적인 기전이 있었으며, 참여자를 위한 교육 및 기술 지원 조직을 운영하였다. 참여가 해당기관의 의사결정에 영향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았다. 운영위원회(Board of Governors)는 파운데이션트러스트의 이사회의 비상임이사를 임명하고 이사회에 환자 및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시키기 위한 조직으로 회원들에 의해선출된다는 점에서 어느정도 대표성이 띠었으나 정보접근성, 의사결정단위에 의견을 전달하는 공식적인 기전, 상시적인 교육 및 기술지원이 불충분하였으며 이사회에 대한 실질적인영향력이 없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임상진료지침개발 과정에서 환자 및 보호자 2인의 직접적인 참여와 환자단체의 이해관계자로서의 참여는 대체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참여 기준들을 모두 충족시켰으며, 임상진료지침 작성에 실질적인 도움을 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영국의 경험은 환자 및 시민참여 제도 도입 여부를 판단하고 구체적인 제도를 설계하고 정책의 효과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 권/호
- 제19권 제4호 2012년 12월
- 발행일
- 2012.12.31
- 구독상태
- 국가자격체계의 국제비교 고찰과 시사점((A) Cross-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 경제와 사회보장의 관점에서 본 스웨덴모델의 특징과 시사점((The) Economy and the Social Security of the Swedish Model -the characteristics and its implications on Korea)
- 독거노인의 가족해체 유형에 관한 연구((A) Study On Family Disorganization Type Of Elderly People Live Alone)
- 사회보장법에서 과도한 위임의 원인과 사회정책에 미치는 영향(Reasons for Excessive Delegation related to the Social Security Acts and its Effects on Social Policy in Korea)
- 지역자활센터의 네트워크와 자활사업성과 간 관계에 관한 연구(Organizational Network and Performance of Local Self-Sufficiency Center in Korea)
저자의 다른 기사
동일 저자의 최근 기사 최대 5건을 제공합니다.기사명 | 저자 | 발행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