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노인의 사회적 역할 유형과 삶의 만족
- 개인저자
- 이소정
- 수록페이지
- 9-35 p.
- 발행일자
- 2013.12.30
- 출판사
- 한국사회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는 고령화 문제의 핵심이 노인들의 사회적 역할 박탈에 있다는 관점하에 우리나라 노인들의 대표적인 세 가지 사회적 역할 유형, 즉 가족돌봄, 사회참여, 근로활동의 결정요인을 살펴보고, 또 각 사회적 역할 유형이 노인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에는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패널데이터(KLoSA)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t-test와 ANOVA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세 가지 사회적 역할 유형의 결정변인 및 사회적 역할 유형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먼저, 가족돌봄의 역할은 노인과 함께 거주하는 가구원수가 많은 반면 가구의 소득수준은 낮은 경우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러한 역할은 특히 건강수준이 양호한 여성노인일수록 이같은 사회적 역할 수행의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가족돌봄 역할의 수행 정도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참여 역할의 결정요인은 높은 인적자본 변인, 즉 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로 분석되었으며 세 가지 역할 유형 중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근로활동의 결정요인은 낮은 교육수준과 읍면부 중심의 농어촌지역 거주, 낮은 연령, 남성, 좋은 건강상태 등이 결정변인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삶의 만족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해 돌봄 노동에 대한 사회적 책임성 강화, 사회참여를 위한 공공 및 민간 인프라의 활성화 등의 정책 대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