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중,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지각된 자활 성과만족에 관한 연구: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검증

개인저자
임진섭
수록페이지
37-75 p.
발행일자
2013.12.30
출판사
한국사회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역 중·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지각된 자활성과에 대한 개인효과와 지역자활센터의 조직효과를 검증하고 이들의 지각된 자활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인과관계를 추론하기 위해 다층모형(Multilevel analysis)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조건적 평균모형(Unconditional means model) 분석결과 중·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지각된 자활성과가 자활센터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층모형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조건적 기울기모형(Unconditional slope model) 분석결과에서 고정효과 결과를 살펴보면 중·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지가 높을수록, 지각된 자활서비스의 질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지각된 자활성과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선효과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지각된 자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 중 자활센터마다 차이가 존재하는 것은 성별, 지각된 서비스의 질, 직무만족, 스트레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지각된 자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조건적 기울기 모형(Conditional slope model)의 분석결과 지각된 자활서비스 질과 직무만족 중에서는 지각된 자활서비스의 질만이 조직수준인 전문자격증 소지자 수 및 센터장의 리더십과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중·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지각된 자활성과 향상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