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제도병치를 통한 한국 공적연금제도의다층구조화 과정 연구(Policy Layering and the Multi-pillar Restructuring of the Public Pension System in Korea)

개인저자
김도균
수록페이지
187-215 p.
발행일자
2015.01.23
출판사
한국사회정책학회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공적연금제도의 다층구조화 과정의 제도적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의 국민연금제도는 1988년 도입 이후 평균소득 대비 소득대체율이 70%에서 40%로 급격히 축소되고, 기초노령연금·기초연금 제도가 도입되는 등 중요한 변화를 겪었다. 하지만 국민연금 중심의 일원적 공적연금체계가 근본적으로 변경되지는 않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제도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제도와 환경, 행위자의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행위자의 전략이 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한다. 또한 행위자의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비토포인트의 강약’과 ‘제도의 자유재량적 해석 가능성’을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한국 공적연금제도의 변화를 다층구조화 과정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제도변화를 ‘제도전용’이 아니라 ‘제도병치’의 결과로 설명한다.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the institutional mechanism of the multi-pillar restructuringin the Korean pension system. Since the national pension system wasintroduced in 1988, its replacement rate was sharply retrenched from 70% to 40% ofthe average income level. Also, adding to the national pension, the basic old-agepension and the basic pension were introduced in 2007 and 2014 respectively. Despite of these crucial changes, however, the unitary public pension system mainlybased on the national pension was not fundamentally changed. This paper putan emphasis on th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 institution, and actors andfocuses on the effect of actor’s strategy on the institutional change. In addition, italso focuses on the role of ‘veto point’ and ‘discretion in interpretation/enforcement’as variables affecting actors’ strategy. As s result, this paper argues that the institutionalchange in the Korean pension system is explained not by ‘policy conversion’,but by ‘policy layering’.